MY MENU

자유게시판

제목

국립경주박물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공동 “동아시아 문자학” 강좌 개설

작성자
국립경주박물관
작성일
2021.04.26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294
내용

국립경주박물관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공동

동아시아 문자학강좌 개설

박물관과 대학산학 협력을 통해 코로나 속 시민의 안식처를 마련 -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최선주)과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원장 윤재석)은 5월 3일부터 약 3개월간 매주 월요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동아시아 기록문화를 토대로 문자학 강좌를 공동개최한다.

 

코로나로 지친 시민을 위해 박물관과 대학이 함께 강좌 개설

이번 강좌는 코로나에 지친 시민들이 삶의 여유를 찾을 수 있는 품격 있는 교양강좌를 마련하고자 두 국립 기관이 함께 마련하였다산학협력의 일환으로 경북대학교와 국립경주박물관 소속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평소 연구하고 고민했던 문자와 기록문화를 창으로 삼아신라를 비롯한 고대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새롭게 조망하고자 한다.

 

신라 역사를 글자를 통해 재조명

최선주 관장은 감산사 석조불상장흥 보림사와 철원 도피안사 철불좌상의 명문을 통해 불교문화 속에서 살아간 통일신라시대 사람들의 삶을 조명한다.

이승은 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성덕대왕신종 명문과 종소리에 대한 과학적 조사 성과를 토대로 그 신비함을 소개한다김대환 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이사지왕명 대도가 출토된 금관총의 발굴과 비밀을 풀어간다이용현 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목간을 통해 신라의 궁중 요리 생활을 설명한다전효수 청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안압지 뼈 장식에 새겨진 글자를 분석해서통일신라 귀족의 격조 높은 공예문화를 복원해낸다.

한편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의 하시모토 시게루 교수는 월성해자 목간을 가지고 당시 사람들이 어떻게 승진하였는지 과정을 살핀다김도영 교수는 신라의 금속제품에 새겨진 글자를 당대 사람들이 어떤 공구를 사용하여 어떻게 만들어 넣었는지 이야기한다이동주 교수는 경주의 기와 명문을 토대로신라 통일기 679년 대대적인 왕경 정비 사업의 실상을 증언한다.

 

동아시아의 눈으로 우리 문화를 바라보다

경북대 인문학술원장인 윤재석 교수는 한중일 삼국의 논어와 구구단 목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사회의 지식 네트워크 구축 과정을 살펴본다.

경북대 인문학술원 윤용구 교수는 낙랑 호구부와 논어 죽간을 통해 중국과 한반도의 교류의 접점을 모색한다또한 경북대 김진우 교수는 <사기>에 담긴 사마천의 여러 심리상황을 읽어내서 설명할 예정이며오준석 교수는 진시황의 삶과 죽음을 재평가한다한편 방국화 교수는 고대 일본의 놀이와 화장실질병 등을 50만점의 목간자료를 갖고 풀어낸다또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김경호 교수는 고대 동아시아에서 유교사상의 전파 양상을 살핀다.

 

5월부터 8월까지 매주 월요일 오후 2시에 유튜브 중계

이번 강좌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19에 대한 대책으로 전면 유튜브 중계로 진행한다생방송과 녹화방송으로 매주 월요일 국립경주박물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중계한다녹화본은 강의 당일부터 한 달간 공개할 예정이며첫 강좌는 주보돈 경북대명예교수의목간이 들려주는 한국 고대사로 시작한다.

 

5.3 ∼ 8.9. 매주 월 오후 2시 ∼ 4시 국립경주박물관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zv5ytOZORj4

?

* 강좌 일정

 

 

1

21. 5. 3.

목간이 들려주는 한국 고대사

주보돈

(경북대 명예교수)

2

21. 5.10.

신라의 궁중생활과 목간

이용현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

3

21. 5.17.

신출토 월성해자 목간과 신라사회

하시모토 시게루

(경북대 HK연구교수)

4

21. 5.24.

趙正書가 들려주는 진시황제의 삶과 죽음

오준석

(경북대 HK연구교수)

5

21. 5.31.

안압지 뼈장식 명문과 옥충주자

전효수

(국립청주박물관 학예연구사)

6

21. 6. 7.

목간에 기록된 동아시아 論語의 세계

김경호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7

21. 6.14.

기억의 전쟁사마천이 전하지 않은우리가 몰랐던 중국 고대

김진우

(경북대 HK연구교수)

8

21. 6.21.

불상과 문자

최선주

(국립경주박물관 관장)

9

21. 6.28.

동아시아 목간문화권의 형성과 전개 양상

윤재석

(경북대 사학과 교수)

10

21. 7. 5.

평양출토 목간과 유물로 본 낙랑사회

윤용구

(경북대 HK교수)

11

21. 7.12.

성덕대왕 신종의 소리와 글자

이승은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

12

21. 7.19.

출토 유물 명문에 반영된 고대 동아시아의 기록문화

김도영

(경북대 HK연구교수)

13

21. 7.26.

일본 출토 목간의 세계와 일본고대 기록문화

방국화

(경북대 HK연구교수)

14

21. 8. 2.

이사지왕명 대도와 금관총

김대환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15

21. 8. 9.

의봉4년명 기와로 본 신라 왕경의 리모델링

이동주

(경북대 HK연구교수)

 

 

 

0
0

로그인 후에 볼수있음.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