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 국제적 위상 살펴보다
6세기 후엽 신라 축조 둘레 1.4km ‘목간(木簡) 보물창고’ 불려
▲ 함안문화원에서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국제적 위상’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됐다.
함안문화원에서 지난 25일, 26일 양일간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국제적 위상’을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마련했다고 29일 밝혔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1991년부터 2016년까지 17차례에 걸쳐 함안 성산산성을 발굴조사 해 총 245점의 목간(문자를 기록한 나무조각)을 확인했다.
이곳에 나온 목간은 다량의 하찰목간(물품에 꼬리표를 단 목간)과 노역징발에 관한 문서목간 이며 기록이 부족한 고대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국제학술대회에는 국내 연구자와 중국, 일본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경북대학교 교수의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 연구의 진전을 위한 제언’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성산산성 축조기법의 특징, 성산산성 목간의 개요, 성산산성 출토 하찰 목간의 서식과 성격, 성산산성 출토 문서목간과 역역동원의 문서 행정, 함안 목간의 국어사적 의의, 성산산성과 출토목간의 연대, 성산산성 목간으로 본 6세기 신라촌락사회의 지방지배의 일면 등 연구자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박현정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연구원은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개요’를 정리했다. 박 연구원은 “단일유적으로는 최대의 목간 출토 수량을 보이고 있다. 목간을 통해 밝혀진 지명, 인명, 관등명 등은 6세기 신라의 촌락구조와 지방행정체제 및 법률제도 등에 대한 의문을 해결할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홍기승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은 함안 성산산성 목간으로 6세기 신라촌락사회의 지방지배의 일면을 살펴봤다.
다이웨이홍 중국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원이 ‘간독과 문서를 통해 본 중국 중고시기 지방 징세체계’를, 하타나카 아야코 일본 동해대 연구원이 ‘목간군으로서의 성산산성 목간’를 발표했다. 이후 논평과 종합토론를 이어가며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국제적 위상에 대해 논의했다.
조 군수는 “오늘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성산산성과 출토 목간이 우리나라를 넘어 동아시아의 대표적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사적 제67호 함안 성산산성(가야읍 광정리 569)은 6세기 후엽 신라에 의해 축조된 둘레 1.4km에 이르는 산성으로 ‘목간(木簡)의 보물창고’로 불린다. 이곳에서 우리나라 고대 목간의 약 40%인 245점이 출토됐다. 김영찬기자
출처:경남도민신문, 2018, 10,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