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문자자료/학계소식

제목

칼로 긁어낸 백제목간 껍질 공개(연합뉴스-김태식기자)

작성자
노무현
작성일
2012.02.02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632
내용
칼로 긁어낸 백제목간 껍질 공개

(서울=연합뉴스) 국립부여박물관이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품을 재정리하는 과정에서 확인한 손칼로 긁어낸 백제목간 껍질. 목간을 재활용하기 위해 기존 묵글씨를 긁어내면서 생긴 부스러기다. 2009.1.8 << 문화부 기사참조,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

부여박물관 '백제목간' 자료집 발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고대 동아시아의 목간(木簡)은 재활용이 이뤄졌다. 글자가 적힌 나무 표면을 칼 같은 도구로 긁어낸 다음, 다시 글자를 써서 목간으로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마치 '대팻밥'처럼 깎아낸 백제시대 목간 껍질 100여 점이 무더기로 공개됐다.

국립부여박물관(관장 권상열)은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품을 재정리하는 과정에서 손칼로 긁어낸 목간 껍질 129점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백제시대 목간 전반에 관한 조사자료집 형태로 기획해 최근 발간한 '백제시대 목간'을 통해 공개했다.

실무를 담당한 이 박물관 이용현 학예연구사는 "목간 껍질과 부스러기에서 벼와 같은 곡물류가 오고 간 문서의 일부로 보이는 '석(石)'(1섬을 의미)과 같은 글자가 보이는가 하면, 문서가 종료되었음을 의미하는 '了'(료)와 같은 글자를 확인함으로써 백제시대 문서행정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두께 0.2㎝인 '나무 대팻밥' 앞뒷면에다가 각각 묵글씨를 적은 이른바 '파피루스형 목간'이 드러났다.

이 목간은 "애초에 종이를 의식하고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고 이 학예사는 덧붙였다.

나아가 지난 99년 부여 쌍북리 유적에서 백제시대 자와 함께 출토된 물품 꼬리표용 백제시대 목간은 그동안 글자가 있다는 점은 확인됐으나 그 정확한 판독은 이뤄지지 않다가 이번에 적외선을 통한 정밀 판독이 시도됐다.

그 결과 부여박물관은 "那●內連公"(●는 판독불능 글자)이라는 판독 성과를 제시하면서 "이 중 '連'(련)이라는 글자는 일본 고대의 야마토 정권에서 관직을 기반으로 내린 성(姓)인 '카바네'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連'을 고대 일본에서는 '무라지'라고 읽는다.

이런 설명이 타당하다면 이 목간이 제작된 당시 백제에는 무라지라는 카바네를 지닌 왜인(倭人)이 활동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의 정사 중 하나인 주서(周書) 중 백제전에는 백제에는 중국과 신라, 왜인이 거주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taeshik@yna.co.kr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