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더보기제목 | 작성일 |
---|---|
(한성백제박물관 공동 주최) 2022년 2회 학술발표회 개최 알림(자료집 첨부) 첨부파일 | 2022.03.28 |
한국목간학회 2022년 학술발표회 개최 안내(자료집 업로드) 첨부파일 | 2022.02.28 |
제 37회 정기발표회 "신출토 문자자료의 향연" 개최 안내 첨부파일 | 2022.01.19 |
[중요] 한국목간학회 회칙 개정안 게시 첨부파일 | 2021.11.23 |
RCCZ 공동주최 제 15회 국제학술대회 "접경과 변경, 그리고 문자생활" 개최 알림 첨부파일 | 2021.11.04 |
보도자료
더보기제목 | 작성일 |
---|---|
[학회동정] 정현숙 부회장 제33회 우현학술상 수상 | 2020.12.24 |
(재)백두문화재연구원 **신간 안내** 『나만의 한국사』 | 2020.01.28 |
한·일 목간학회 공동 국제학술대회 | 2019.01.29 |
제10회 아라가야 국제학술 심포지엄 안내 | 2018.12.04 |
제70회 일본 정창원전 | 2018.11.08 |
학회행사사진
더보기-
한국목간학회 제30회 정기발표회 와세다대학 중앙 도서관 앞 2019년 1월 18일 답사 첫날- 와세다대 중앙도서관에서 吉田東伍가 기증한 조선고문헌 중 일부 고문서를 열람하였습니다. 이하 고문서 관람 및 관내 역사박물관으로 가는 동안의 모습입니다.
둘째 날은 학술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2019년 1월 19일 한국목간학회와 일본목간학회가 공동주최하는 학술회의
11:00~12:00 ; 식전행사 특별강연佐川英治, 4,5世紀를 경계로 한 동아시아 세계의 변화
13:00-17:30 : 학술회의
기조강연平川南(人間文化?究機構)
발표 순서1. 市 大樹(大阪大?), 일본의 7세기 목간에서 바라 본 한국 목간 (日本の7世紀木簡からみた韓?木簡)
2. 馬場 基 (?立奈良文化財?究所), 동아시아 문자문화 중의 한국 목간 (東アジア文字文化の中の韓?木簡)
3. 鐘江 宏之(?習院大?), 대보율령 시행에 의한 일본사회의 변화와 한국 목간 (大?律令施行による日本社?の?容と韓?木簡)
4. 田中 史生(早?田大?), 미야케와 한국 목간 ? 왜국사에 있어서 한국 목간의 가능성 (ミヤケ(屯倉)と韓?木簡━倭?史における韓?木簡の可能性) 한국목간학회의 토론자 선생님 尹 善泰 : 東國大學校崔 ?植 : 東國大學校金 秉駿 : ソウル大學校權 仁澣 成均館大學校 이하 학술대회의 관련 모습니다.
'나니와연공' 이 묵서된 목간의 논문(유일)을 쓰신 히라카와 선생님과 그 논문의 도움을 받은 이의 반가운 만남 ?? 아래는 학술대회 후 뒷풀이 모습입니다
이상 2019년 1월 18일과 19일 양일간의 일정을 올렸습니다.정기발표회를 중심으로 기록을 남겼습니다. 20일과 21일의 도쿄 답사도 곧 올리겠습니다. 2019.01.24 -
한국목간학회 제29회 정기발표회 일시;2018년 11월 30일 14시~17시 30분장소;동국대학교 법학관 162호 사회;윤선태 (동국대학교) 개회식 인사 윤선태발표 순서1.최인건(한국고고환경연구소)- 아차산성 집수지 출토 목간 소개2.심재용(대성동고분박물관)- 양동산성 집수지 발굴조사 성과3.구산우(창원대학교)- 고려 성곽 건설에 동원된 지방군에 관한 새로운 기와 명문의 분석
2018 정유년 마지막 공식 정식발표회였습니다. 2019 기해년 첫 학회행사 및 신년휘호는 1월 19일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열립니다.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호응 기대합니다. 남은 정유년 2018년에 생각지도 못한 기적같은 일들을 맞으시길 기원합니다. 늘 동일한 마음으로 한국목간학회를 아껴주시고 관심 많이 가져주신선생님들께 고개 숙여 감사의 인사올립니다. 2018.12.07 -
한국목간학회 제12회 국제학술회의 한국목간학회제12회 국제학술회의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국제적 위상 1일차 10월 25일 목요일개회사 국립문화재연구소환영사 함안군수, 한국목간학회 명예회장기조강연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연구의 진전을 위한 제언 국내 주제 발표 - 최연식 동국대발표1 함안 성산산성 축조기법의 특징 - 정인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발표2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개요 - 박현정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발표3 함안 성산산성 출토 하찰목간의 서식과 성격 - 발표 홍승우 명지대 - 논평 이수훈 부산대발표4 함안 성산산성 출토 문서목간과 역역 동원의 문서 행정 - 발표 이재환 홍익대 - 논평 김창석 강원대발표5 함안 목간의 국어사적 의의 - 발표 권인한 성균관대 - 논평 이진호 서울대발표6 함안 성산산성과 출토목간의 연대 - 발표 김재홍 국민대 - 논평 이주헌 국립문화재연구소발표7 함안 성산산성과 목간으로 본 6세기 신라촌락사회의 지방지배의 일면 - 발표 홍기승 국사편찬위원회 -논평 윤선태 동국대 2일차10월 26일 금요일 국외 주제 발표 - 김병준 서울대발표8 簡牘과 文書로 본 中國 中古 時期 지방 징세 체계 - 발표 戴衛紅 중국사회과학 원 - 논평 이주현 서울대발표9 木簡群으로서의 성산산성의 목간 - 발표 畑中彩子 일본 동해대학 - 논평 이용현 국립경주박물관개별 발표 논평 - 좌장 김병준 서울대 / 발표, 지정 논평자 전원종합토론 - 좌장 전덕재 단국대 / 발표, 지정 논평자 전원폐회 및 사진촬영
2018.11.05 -
2018년 한국목간학회 하계세미나 (7월 12일~13일) 한국목간학회에서는 7월 12일, 13일에 걸쳐 하계워크샵을 개최하였습니다.12일에는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3분의 발표와 함안성산산성 17차 발굴조사 출토 목간을 실견하였습니다. 발표자1.한지아, 김성식:"부여 쌍북리 56번지 사비한옥마을 조성부지 유적 출토 목간 보고"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부연구위원 2.윤선태:"淸州 雲泉洞寺蹟碑의 건립 연대"동국대학교 3.권인한:"습서와 낙서, 그리고 부호 성균관대학교 13일에는 대성동고분군, 김해봉황대목간, 부산배산산성 목간 출토지를 답사하였습니다.
한국목간학회에서는 10월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것은 추후 개별 메일을 통해 공지되오니 많은 참관을기대합니다.감사합니다. 2018.07.18
문자자료 소식
더보기제목 | 작성일 |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특별기획전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木簡의 여정>’ 개최 | 2018.11.15 |
2018년 제70회 정창원 전 "신라촌락문서의 작성연대 695년으로 소개" | 2018.11.04 |
역사학ㆍ국어학 경계서 설총을 말하다 | 2018.10.15 |
울진 봉평리 신라비 발견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2018.07.18 |
신라왕이 日에 선물한 책보에 숨겨진 문서… 삼국통일 후 세상을 담다 | 2018.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