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첨부파일0
- 추천수
- 0
- 조회수
- 1068

| 펴낸곳 백두문화재연구원
| 발행일 2020년 1월 3일
| 지은이 조경철
| 판형 152*224
| 페이지 253
| ISBN 979-11-89589-18-9
| 가격 15,000원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한국사와는 다른, 저자만의 독특하고 참신한 관점에서 우리 역사를 정리한 책이다.
저자가 애정을 가지고 우리 역사를 살펴보았기에 「나만의 한국사」 라는 제목에는
저자의 고집이 아닌 ‘나의 소중한 한국사’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저자는 ‘환인/환국’, ‘국호’, ‘빈상과 칭원법’, ‘칠지도’, ‘대통사’, ‘불국사와 석불사’, ‘경천사 석탑’, ‘근현대 연표’ 등
한국사의 다양한 논제들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힘주어 말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답을 내거나 정해주지는 않는다.
대신 독자들에게 또 다른 새로운 답을 찾는 여정을 함께 떠날 것을 요청하며,
이 책은 그러한 여정에의 동참을 바라는 마음을 담은 초대장이다.
◇ 대상
- 한국사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에게는 교양서
- 대학에서는 역사학 및 교양과목 수강 학생들의 수업교재 및 교육자료
◇ 특징
-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100여장의 사진, 그림, 표 등을 게재
[저자]
조경철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나와 같은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연세대에서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다. 새로운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2013년 한국연구재단에서 조사한 인용지수 한국사 분야에서 2위를 했다.
어린이를 좋아해 2015년부터 군포문화나눔학교에서 박물관 답사를 진행하고 있다.
나라이름역사연구소를 운영하며 통일한국의 나라이름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목차]
▂ 추천의 글
▂ 들어가며
6 젊은 그대, 2020
▂ 나만의 한국사 연표
01 총설
16 한국역사의 분수령, BTS
02 선사시대
20 공주 석장리 구석기 유적과 패러다임의 전환
24 손보기와 한글
03 고조선
25 일연이 꿈꾼 세상, 고조선의 ‘古’는 왜 붙였나?
27 고조선의 건국과 멸망
27•단군은 요임금보다 늦게 나라를 세웠는가?
30•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인간은 ‘사람’이 아니라 ‘사람세상’이다.
33•홍익인간은 불교에서 온 말이 아니다.
34•고조선의 마지막 왕, 우거왕
36•고조선의 항후육적(降侯六賊)
38 환국과 환인
38•환국, 환인으로 바로 잡아야
42•『삼국유사』????의 제석(帝釋)과 ????『제왕운기』????의 석제(釋帝)
44•‘환인’은 불교에서 온 용어인가?
47•『제왕운기』의 ‘손녀’는 누구의 손녀인가?
50▪단군신화 속 호랑이를 위한 변명
52▪『묘향산지』의 환웅과 백호
04 고구려
53 ‘고려’라는 나라이름의 의미
53•나라이름과 국호계승의식
54•충주 고려비와 금동연가칠년명여래입상
56•주몽의 고려, 궁예의 고려, 왕건의 고려
58•중국 기록보다 앞선 ‘고려’ 국호 기록
59•동북공정, 가장 확실한 대응은?
60•통일한국의 나라이름, ‘고려’와 ‘한글’
61 고구려의 건국 연대는 기원전 37년인가?
65 광개토왕의 빈상과 칭원법
65•광개토왕의 빈상은 36개월 3년상
67•광개토왕의 칭원법
68•『삼국사기』, 『삼국유사』, 『역대연표』, 『고려사』의 칭원법
70 광개토왕릉비
70•광개토왕릉비 신묘년조, ‘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날을’
71•광개토왕릉비 신묘년조 논란
73•신묘년조의 새로운 해석, 능비에 보이는 ‘민’과 ‘전치문설’ 비판
75•광개토왕의 ‘영락연호’에서 ‘영락교회’까지
77▪고구려 고분벽화의 달 그림과 별주부전
05 백제
80 칠지도
80•칠지도의 가지는 몇 개일까?
82•칠지도의 모양은 어디에서 유래했나? 명협(蓂莢)과 일경육수(一莖六穗)
85•『일본서기』에만 보이던 칠지도가 눈앞에
86•칠지도의 ‘태화’는 중국 연호인가?
90•‘태화’가 중국 연호라면 이해되지 않는 상황
91•역사 이래 이런 칼은 없었다.
92 무령왕릉지석
92•무령왕비지석의 잘못된 12월
97•무령왕릉지석의 붕(崩)
98•내가 너를 천년동안 지키리라!
100 대통사
100•대통사와 양무제의 잘못된 만남
105•‘대통’ 연호와 대통 오수전
107•마법의 숫자 ‘527’
108•말장난으로 만들어진 ‘대통’ 연호
109•대통사와 정림사
110 백제금동대향로
110•위덕왕은 왜 3년 동안 왕위에 오르지 않았을까?
111•역사 이래 이런 향로는 없었다.
114 아버지를 위한 딸의 기도, 창왕 이름이 새겨진 사리감
117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드리는 선물, 자기사 목간
119 예산 사방불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