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문자자료/학계소식

제목

신라도 기와 쌓아 건물 기단 만들었다 (연합뉴스 2010.5.26)

작성자
노무현
작성일
2012.02.03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549
내용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기와를 쌓아 건물 기단을 만드는 건축 방식은 한반도 고대 삼국 중에서는 지금까지 백제의 전매특허품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신라 또한 이미 600년대 초반 이런 방식으로 건물을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신라 천년 왕성인 월성(月城) 남쪽에 소재하는 신라시대 절터로서 인용사(仁容寺)라는 사찰이 있던 곳으로 알려진 이른바 '전(傳) 인용사터'에 대한 올해 발굴조사 결과 "7세기 초엽 경 조영(造營)했다고 추정되는 와축기단(瓦築基壇) 건물지와 우물에서 통일신라시대 사초(史草)로 추정되는 내용을 기록한 목간(木簡) 한점을 발굴했다고 26일 말했다.

기와를 적재해 토대를 조성하는 와축기단 건물은 사비 도읍기 백제(538~660년)에서만 보인다고 알려져왔다.

이번에 인용사터에서 확인한 와축기단 건물지는 도리 3칸, 보 1칸(12.6×6.7m) 규모다.

연구소는 "기와를 이용해 기단을 구축하는 형식은 백제의 그것과 같지만 기와를 경사지게 엇갈려 쌓았다는 점에서 기와를 차곡차곡 쌓거나 세워서 쌓는 방식을 구사한 백제지역 사례와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

이 기와기단 건물터가 등장한 시기는 "기단토 내부에서 수습한 고식(古式)의 단판연화문 수막새라든가 단각고배 등의 출토유물과 건물지의 중복관계(사찰 건물의 아래층에서 확인)로 볼 때 7세기 초엽 경으로 추정된다"고 조사단은 말했다.

우물에서 수습한 목간은 긴 네모꼴인 세장방형(細長方形)으로 길이 15.8㎝, 너비 1.38㎝, 두께 0.77㎝이며 수종은 소나무로 드러났다. 목간 앞뒤 양면에 걸쳐 묵서(墨書. 묵글씨) 약 40여 자가 확인됐다.
연구소는 "앞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1행만 묵서를 기재했지만 뒷면은 2행 묵서를 서로 엇갈리게 기재했다"면서 "서체는 전형적인 왕희지체로 매우 능숙하게 쓰인 글씨체"라고 말했다.

묵서는 왕에게 대룡(大龍)이라는 사람이 소귀공(所貴公) 등 2인에 대한 인물평과 천거(薦擧)를 아뢰는 내용으로 추정된다고 연구소는 말했다.

이러한 형식과 내용으로 볼 때 이 목간은 어떤 사실을 기록한 자료로서 정식문서로 정리하기 전 단계의 기록, 즉 사초일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소 측은 덧붙였다.

목간에 보이는 대룡이라는 인물은 삼국유사에서는 원성왕(재위 785~798년)의 딸 중 한 명인 대룡부인(大龍夫人)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목간 판독에 관여한 서체 전공 손환일 박사와 이두 전공 이승재 서울대 교수 등은 묵서를 다음과 같이 판독하고 해석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는 판독이 불확실한 글자)


(목간 앞면)
원문 : 大龍王中白主民渙次心阿多乎去亦在…(아랫면 파손)
번역 : 대룡(大龍)이 王께 사뢰어“主(임금)와 백성이 흩어지던 차에 마음에 많이 감이 (마음에 많이 걸리는 바가) 있습니다.

(목간 뒷면)
[왼쪽 행]
원문 : 名者所貴公歲?金(候)公歲?五
번역 : 거명할 자는 소귀공(所貴公)으로 나이 서른이고, 금후공(金候公)이며 나이 서른다섯입니다.

[오른쪽 행]
원문 : 是二人者歲□□亦在如契?□右如(아랫면 파손)
번역 : 이 두 사람은 나이에 (적당함이) 있습니다. 약속은 앞과 같습니다.

이 외에도 이번 발굴에서는 연못과 우물, 건물지 등에서 원반형 토제품과 동경(銅鏡. 청동거울), 토기, 복숭아씨 등 통일신라 제의(祭儀) 행위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도 수습됐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